4.1 열전달 해석 결과
열전달 해석은 용접 방향과 순서를 고려하여
Fig. 16의 여덟 가지 시나리오로 수행하였다.
Fig. 16
Welding scenarios for heat transfer analysis
레진 시공 부위 중, 여덟 가지 용접 시나리오의 해석 결과에서 가장 온도가 높게 평가된 위치와 각 해석 결과에서의 온도변화는
Fig. 17,
18과 같다.
Fig. 17
Peak temperature position and temperature distribution on the top plate
Fig. 18
Temperature distribution on the top plate after cooling
위 결과의 최대 온도를 정리하면
Table 4와 같다.
Fig. 17과
Table 4를 통해 새들 상판의 온도는 새들의 웹 프레임 (web frame)과 중앙부 브라켓이 교차하는 지점에 가까울수록 높음을 알 수 있다. 해당 부분은 대류에 의한 열손실이 발생하지 않는 내부 영역이며 선체 길이 (X), 폭 (Y) 방향 용접선에서 전도되는 열이 교차하는 부분이므로 예상 가능한 결과이다.
Table 4
Maximum temperature of each scenario in the top plate [℃]
Dist. [mm] |
SC 1 |
SC 2 |
SC 3 |
SC 4 |
SC 5 |
SC 6 |
SC 7 |
SC 8 |
0.00 |
61.625 |
61.678 |
61.621 |
61.675 |
61.643 |
61.649 |
61.650 |
61.654 |
3.00 |
61.625 |
61.678 |
61.620 |
61.675 |
61.642 |
61.648 |
61.649 |
61.654 |
6.50 |
61.624 |
61.677 |
61.619 |
61.674 |
61.641 |
61.647 |
61.648 |
61.653 |
10.00 |
61.623 |
61.675 |
61.618 |
61.672 |
61.639 |
61.646 |
61.646 |
61.652 |
19.75 |
61.617 |
61.668 |
61.612 |
61.664 |
61.630 |
61.639 |
61.637 |
61.645 |
29.50 |
61.609 |
61.657 |
61.603 |
61.654 |
61.618 |
61.630 |
61.625 |
61.636 |
39.25 |
61.599 |
61.646 |
61.594 |
61.643 |
61.605 |
61.620 |
61.612 |
61.626 |
49.00 |
61.590 |
61.634 |
61.585 |
61.631 |
61.592 |
61.609 |
61.599 |
61.615 |
58.75 |
61.580 |
61.623 |
61.575 |
61.620 |
61.578 |
61.599 |
61.585 |
61.605 |
68.50 |
61.571 |
61.611 |
61.566 |
61.608 |
61.565 |
61.588 |
61.572 |
61.594 |
78.25 |
61.561 |
61.600 |
61.557 |
61.597 |
61.552 |
61.578 |
61.559 |
61.584 |
88.00 |
61.552 |
61.588 |
61.547 |
61.586 |
61.539 |
61.567 |
61.546 |
61.573 |
97.75 |
61.542 |
61.577 |
61.538 |
61.574 |
61.526 |
61.557 |
61.533 |
61.563 |
107.50 |
61.533 |
61.566 |
61.528 |
61.563 |
61.513 |
61.547 |
61.520 |
61.552 |
117.75 |
61.523 |
61.554 |
61.519 |
61.551 |
61.500 |
61.536 |
61.507 |
61.542 |
127.00 |
61.513 |
61.542 |
61.509 |
61.540 |
61.490 |
61.525 |
61.495 |
61.531 |
136.75 |
61.503 |
61.530 |
61.499 |
61.528 |
61.480 |
61.514 |
61.486 |
61.520 |
146.50 |
61.492 |
61.517 |
61.488 |
61.515 |
61.470 |
61.502 |
61.475 |
61.508 |
156.25 |
61.481 |
61.504 |
61.477 |
61.501 |
61.459 |
61.490 |
61.465 |
61.496 |
166.00 |
61.468 |
61.489 |
61.465 |
61.486 |
61.448 |
61.476 |
61.453 |
61.482 |
175.75 |
61.454 |
61.472 |
61.450 |
61.469 |
61.434 |
61.461 |
61.440 |
61.467 |
185.50 |
61.437 |
61.451 |
61.434 |
61.449 |
61.419 |
61.442 |
61.424 |
61.448 |
195.25 |
61.415 |
61.425 |
61.412 |
61.423 |
61.398 |
61.419 |
61.404 |
61.424 |
205.00 |
61.369 |
61.368 |
61.366 |
61.366 |
61.355 |
61.368 |
61.361 |
61.374 |
시간의 변화에 따른 새들 상판 중앙 지점의 온도 변화는
Fig. 19와 같다. 새들 상판의 중앙 지점은 용접선로부터의 거리가 멀어 용접 종료 이후에 최고 온도에 도달했다가 온도가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Fig. 19
Temperature history at the center point of the saddle’s top plate (Scenario1)
본 연구에 사용된 새들 모델의 최소 높이는 800mm 이상이며, 이는 문제없이 인도된 실적선이므로 모든 시나리오에서 레진과 우든 블록에 손상을 입힐 수준의 열영향은 발생하지 않았다. 또한 실선 제작을 통해 해석 결과의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새들의 높이에 따른 열영향을 예측하기 위해 새들 센터 라인에서, 용접 비드로부터의 높이 방향 거리에 따른 온도를
Fig. 20에 시나리오별로 비교하였다.
Fig. 20의 그래프는 각기 다른 시간에서의 각 지점별 최대 온도를 시나리오 별로 나타낸 결과이다. 거리에 따라 최대 온도에 도달하는 시간이 다르므로 동시간에 발생한 온도가 아님을 알린다.
Fig. 21은 특정 시나리오에서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하는 온도 분포이다.
Fig. 20
Temperature changes by scenario depending on the distance from the weld bead
Fig. 21
Temperature distribution changes over time (Scenario1)
용접열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고 기능의 상실을 막기 위한 최소 내열 온도는 레진이 70℃, 우든 블록이 90℃이다.
Fig. 20의 결과를 정리하면
Table 5와 같다.
Table 5
Temperature distribution of each scenario at vertical centerline [℃]
Dist. [mm] |
SC 1 |
SC 2 |
SC 3 |
SC 4 |
SC 5 |
SC 6 |
SC 7 |
SC 8 |
Tmax/Tmin
|
104.72 |
102.98 |
105.48 |
100.59 |
102.71 |
106.92 |
105.67 |
107.42 |
106.79 |
1.068 |
154.25 |
90.21 |
90.80 |
89.61 |
90.20 |
91.13 |
90.92 |
91.20 |
91.10 |
1.018 |
203.77 |
82.34 |
82.61 |
82.04 |
82.36 |
82.47 |
82.56 |
82.47 |
82.49 |
1.007 |
253.30 |
76.85 |
77.11 |
76.75 |
76.98 |
77.02 |
77.01 |
77.03 |
76.96 |
1.005 |
302.83 |
73.21 |
73.14 |
73.15 |
73.05 |
73.29 |
73.21 |
73.28 |
73.21 |
1.003 |
352.36 |
70.40 |
70.48 |
70.34 |
70.44 |
70.37 |
70.47 |
70.35 |
70.46 |
1.002 |
400.00 |
68.34 |
68.29 |
68.32 |
68.25 |
68.38 |
68.31 |
68.39 |
68.32 |
1.002 |
450.00 |
66.64 |
66.78 |
66.61 |
66.76 |
66.66 |
66.72 |
66.68 |
66.72 |
1.002 |
500.00 |
65.48 |
65.46 |
65.46 |
65.46 |
65.46 |
65.49 |
65.47 |
65.50 |
1.001 |
550.00 |
64.46 |
64.42 |
64.46 |
64.41 |
64.48 |
64.43 |
64.49 |
64.44 |
1.001 |
600.00 |
63.58 |
63.66 |
63.58 |
63.65 |
63.62 |
63.59 |
63.64 |
63.60 |
1.001 |
650.00 |
62.94 |
62.98 |
62.93 |
62.98 |
62.90 |
62.96 |
62.91 |
62.97 |
1.001 |
700.00 |
62.42 |
62.40 |
62.41 |
62.40 |
62.41 |
62.42 |
62.42 |
62.43 |
1.000 |
750.00 |
61.98 |
61.97 |
61.98 |
61.97 |
61.99 |
61.96 |
61.99 |
61.96 |
1.001 |
800.00 |
61.66 |
61.66 |
61.71 |
61.71 |
61.68 |
61.68 |
61.69 |
61.68 |
1.001 |
820.00 |
61.63 |
61.68 |
61.62 |
61.67 |
61.64 |
61.65 |
61.65 |
61.65 |
1.001 |
열전달 해석 결과는 용접 방향과 순서가 열전달 측면에서는 특정할 만한 차이가 없음을 보여준다. 하지만 모든 시나리오의 결과를 통해, 레진이 임계온도 70℃에 도달하지 않기 위해서는 새들의 최소 요구 높이가 약 400mm 정도임을 알 수 있다. 용접 비드로부터 400mm 떨어진 위치에서의 시나리오 별 최고 온도와 최저 온도는 0.2% 차이 밖에 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4.2 열변형 해석 결과
열변형 해석은
Fig. 22의 용접선 분포에 대해
Table 6의 열두 가지 시나리오로 진행하였다. 이는 현업에서 실행 가능한 현실적인 시나리오들이다.
Fig. 22
Weld line distribution of heat deformation analysis
Table 6
Weld scenarios for heat deformation analysis
Sequence |
SC1 |
SC2 |
SC3 |
SC4 |
SC5 |
SC6 |
SC7 |
SC8 |
SC9 |
SC10 |
SC11 |
SC12 |
1 |
X7 |
X1 |
Y6 |
Y1 |
X7 |
X1 |
Y6 |
Y1 |
X7 |
X1 |
X1 |
X7 |
2 |
Y6 |
Y1 |
Y5 |
Y2 |
X6 |
X2 |
Y5 |
Y2 |
X6 |
X2 |
Y6 |
Y1 |
3 |
X6 |
X2 |
Y4 |
Y3 |
X5 |
X3 |
Y4 |
Y3 |
X5 |
X3 |
X2 |
X6 |
4 |
Y5 |
Y2 |
Y3 |
Y4 |
X4 |
X4 |
Y3 |
Y4 |
X4 |
X4 |
Y5 |
Y2 |
5 |
X5 |
X3 |
Y2 |
Y5 |
X3 |
X5 |
Y2 |
Y5 |
X3 |
X5 |
X3 |
X5 |
6 |
Y4 |
Y3 |
Y1 |
Y6 |
X2 |
X6 |
Y1 |
Y6 |
X2 |
X6 |
Y4 |
Y3 |
7 |
X4 |
X4 |
X7 |
X1 |
X1 |
X7 |
X1 |
X7 |
X1 |
X7 |
X4 |
X4 |
8 |
Y3 |
Y4 |
X6 |
X2 |
Y6 |
Y1 |
X2 |
X6 |
Y1 |
Y6 |
Y3 |
Y4 |
9 |
X3 |
X5 |
X5 |
X3 |
Y5 |
Y2 |
X3 |
X5 |
Y2 |
Y5 |
X5 |
X3 |
10 |
Y2 |
Y5 |
X4 |
X4 |
Y4 |
Y3 |
X4 |
X4 |
Y3 |
Y4 |
Y2 |
Y5 |
11 |
X2 |
X6 |
X3 |
X5 |
Y3 |
Y4 |
X5 |
X3 |
Y4 |
Y3 |
X6 |
X2 |
12 |
Y1 |
Y6 |
X2 |
X6 |
Y2 |
Y5 |
X6 |
X2 |
Y5 |
Y2 |
Y1 |
Y6 |
13 |
X1 |
X7 |
X1 |
X7 |
Y1 |
Y6 |
X7 |
X1 |
Y6 |
Y1 |
X7 |
X1 |
열변형 해석 결과를 분석하기 앞서, 해석에 사용된 모델의 정보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3차원 솔리드 모델을 2차원 쉘 모델화 하게 되면 새들 아치부 상판 두께의 절반에 해당하는 치수의 변화가 발생한다. 해당 모델은 실적이 있는 LNG 연료탱크로써 정확한 치수로 모델링이 되었으나, 3차원 솔리드 모델을 2차원 쉘 모델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미소하지만 수치 에러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해석결과를 정확히 분석하기 위해 변환된 2차원 유한요소 모델의 정보를 토대로, 해석 모델의 아치 중심, 반지름을
Fig. 23과 같이 재계산하였다.
Fig. 23
Recalculation of 2-D FE model’s dimension [mm]
각 시나리오 별 해석 결과는
Fig. 24의 ① ~ ④ 지점에 대해 정리하였으며, 그 결과는
Table 7과 같다. ③, ④ 지점의 Z 변위는, 해석의 진행에 따라 발생하는 ①, ② 지점의 이동을 고려하여 이에 대한 상대 변위 ③’, ④’로 나타내었다.
Fig. 24
Designated point for assessment
Table 7
Y & Z displacement of the designated points of each scenario [mm]
Y displacement |
Position |
① |
② |
③ |
④ |
|
|
SC1 |
0 |
0 |
-0.090938 |
-0.090962 |
|
|
SC2 |
0 |
0 |
-0.092602 |
-0.092627 |
|
|
SC3 |
0 |
0 |
-0.092542 |
-0.092567 |
|
|
SC4 |
0 |
0 |
-0.089975 |
-0.090001 |
|
|
SC5 |
0 |
0 |
-0.093020 |
-0.093044 |
|
|
SC6 |
0 |
0 |
-0.090610 |
-0.090633 |
|
|
SC7 |
0 |
0 |
-0.090423 |
-0.090448 |
|
|
SC8 |
0 |
0 |
-0.092064 |
-0.092090 |
|
|
SC9 |
0 |
0 |
-0.091774 |
-0.091797 |
|
|
SC10 |
0 |
0 |
-0.091840 |
-0.091863 |
|
|
SC11 |
0 |
0 |
-0.096928 |
-0.096954 |
|
|
SC12 |
0 |
0 |
-0.086342 |
-0.086365 |
|
|
Z displacement |
① |
② |
③ |
④ |
③’ |
④’ |
SC1 |
0.020384 |
0.016777 |
-0.086170 |
-0.086213 |
-0.065787 |
-0.069437 |
SC2 |
0.021411 |
0.018675 |
-0.087729 |
-0.087773 |
-0.066318 |
-0.069099 |
SC3 |
0.020034 |
0.016287 |
-0.089025 |
-0.089071 |
-0.068991 |
-0.072785 |
SC4 |
0.020621 |
0.016708 |
-0.088990 |
-0.089035 |
-0.068369 |
-0.072327 |
SC5 |
0.021286 |
0.018858 |
-0.084524 |
-0.084566 |
-0.063238 |
-0.065708 |
SC6 |
0.021862 |
0.019304 |
-0.084310 |
-0.084352 |
-0.062449 |
-0.065048 |
SC7 |
0.020490 |
0.016658 |
-0.089046 |
-0.089092 |
-0.068556 |
-0.072434 |
SC8 |
0.020148 |
0.016320 |
-0.088960 |
-0.089006 |
-0.068812 |
-0.072686 |
SC9 |
0.021586 |
0.019048 |
-0.084328 |
-0.084370 |
-0.062743 |
-0.065322 |
SC10 |
0.021564 |
0.019107 |
-0.084504 |
-0.084546 |
-0.062940 |
-0.065438 |
SC11 |
0.021246 |
0.018921 |
-0.089036 |
-0.089082 |
-0.067790 |
-0.070161 |
SC12 |
0.020485 |
0.016509 |
-0.084359 |
-0.084400 |
-0.063874 |
-0.067891 |
Table 7의 결과에서 ①, ② 지점은 +Z 방향의 변위가, ③, ④ 지점은 -Y 방향의 변위가 발생했다. 이를 통해 새들 아치의 형상이
Fig. 25와 같이 원형에서 타원형에 유사한 형상으로 변형될 것을 예상할 수 있다.
Fig. 25
Schema of the deformed saddle
Fig. 26
Total deformation after welding (Scenario11, scale factor = 50)
Fig. 27
Y-displacement of point ③ & ④ (Scenario11, scale factor = 1,000)
용접 순서가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용접 진행 중 발생하는 변위를 추적한 결과를
Table 8과
Fig. 28에 나타내었다. 웹 프레임과 브라켓을 번갈아 가며 새들 외부에서 내부로 용접이 진행되는 시나리오 1과 정반대 경우인 시나리오 2, 그리고 웹 프레임과 브라켓이 정반대 방향에서 하나씩 용접이 진행되며 최종 변위가 가장 크게 발생한 시나리오 11을 비교하였다. 앞서 첨삭된 그림들의 변위 방향과 동일하게 표현하기 위해 반대 부호를 적용했음을 알린다.
Table 8
Displacement tendency according to different welding sequence
Weld sequence |
SC1 |
SC2 |
SC11 |
Weld path |
Y-displacement ③ [mm, anticlastic] |
Weld path |
Y-displacement ③ [mm, anticlastic] |
Weld path |
Y-displacement ③ [mm, anticlastic] |
0 |
- |
0 |
- |
0 |
- |
0 |
1 |
X7 |
0.062397 |
X1 |
-0.017394 |
X1 |
-0.017394 |
2 |
Y6 |
0.086844 |
Y1 |
-0.031711 |
Y6 |
0.005416 |
3 |
X6 |
0.134632 |
X2 |
-0.070216 |
X2 |
-0.031070 |
4 |
Y5 |
0.155705 |
Y2 |
-0.075136 |
Y5 |
-0.010248 |
5 |
X5 |
0.171166 |
X3 |
-0.120281 |
X3 |
-0.036129 |
6 |
Y4 |
0.180979 |
Y3 |
-0.103734 |
Y4 |
-0.025865 |
7 |
X4 |
0.193692 |
X4 |
-0.093125 |
X4 |
-0.013454 |
8 |
Y3 |
0.190315 |
Y4 |
-0.080335 |
Y3 |
-0.016080 |
9 |
X3 |
0.164081 |
X5 |
-0.066154 |
X5 |
-0.001065 |
10 |
Y2 |
0.157761 |
Y5 |
-0.043299 |
Y2 |
-0.007046 |
11 |
X2 |
0.121673 |
X6 |
-0.002335 |
X6 |
0.038720 |
12 |
Y1 |
0.109512 |
Y6 |
0.021505 |
Y1 |
0.025949 |
13 |
X1 |
0.090938 |
X7 |
0.092602 |
X7 |
0.096928 |
Fig. 28
Displacement tendency by scenario
Table 7에 정리된 바와 같이 폭 방향 최종 변위는 약 0.09mm 수준으로 각 시나리오 별 차이는 크지 않다. 하지만 용접 순서에 따라 용접이 진행되는 동안의 경향은 확연히 차이가 난다. 새들의 외부에서 내부로 진행되는 시나리오 1에서는 새들의 외부를 용접하는 동안은 새들이 외부로 변형하는 양상을 보이다가 용접이 반 이상 진행된, 상대적으로 새들 내부를 용접하는 동안은 새들이 내부로 변형하며 0.2mm 수준까지 발생했던 변위가 0.09mm 수준으로 떨어진다. 반대의 경우인 시나리오 2는 먼저 새들의 내부가 용접되는 동안 새들이 내부로 변형하는 양상을 보이다가, 외부영역으로 용접이 이동하면서 외부로 변형하는 양상을 보인다. 새들의 내부와 내부를 번갈아 가며 용접하는 시나리오 11에서는 변형이 늘었다 줄었다 하는 지그재그 양상을 보인다.
Table 7의 변위가 발생한 ① ~ ④ 지점의 새로운 좌표 ①’ ~ ④’를 이용하여 ①’ - ③’ 지점을 지나는 원과 ②’ - ④’ 지점을 지나는 타원의 제원을
Table 9에 나타내었다.
Table 9
The specification of the deformed saddle in each scenarios
Scenario |
a (length of major axis) of ① - ③ [mm] |
b (length of minor axis) of ① - ③ [mm] |
Eccentricity of ellipse ① - ③ |
OOR (Dmax Dmin) ① - ③ [mm] |
a (length of major axis) of ① - ③ [mm] |
b (length of minor axis) of ② - ④ [mm] |
Eccentricity of ellipse ② - ④ |
OOR (Dma Dmin ② - ④ [mm] |
SC1 |
5017.890476 |
5019.110826 |
0.022050 |
2.440701 |
5017.894083 |
5019.082103 |
0.021756 |
2.376039 |
SC2 |
5017.889449 |
5019.138009 |
0.022304 |
2.497120 |
5017.892185 |
5019.116309 |
0.022085 |
2.448249 |
SC3 |
5017.890826 |
5019.130300 |
0.022222 |
2.478947 |
5017.894573 |
5019.100465 |
0.021919 |
2.411784 |
SC4 |
5017.890239 |
5019.112996 |
0.022072 |
2.445514 |
5017.894152 |
5019.081833 |
0.021753 |
2.375363 |
SC5 |
5017.889574 |
5019.130928 |
0.022239 |
2.482707 |
5017.892002 |
5019.111692 |
0.022044 |
2.439381 |
SC6 |
5017.888998 |
5019.114342 |
0.022096 |
2.450689 |
5017.891556 |
5019.094055 |
0.021889 |
2.404998 |
SC7 |
5017.890370 |
5019.115936 |
0.022098 |
2.451132 |
5017.894202 |
5019.085417 |
0.021786 |
2.382430 |
SC8 |
5017.890712 |
5019.126941 |
0.022193 |
2.472459 |
5017.894540 |
5019.096455 |
0.021883 |
2.403829 |
SC9 |
5017.889274 |
5019.122108 |
0.022163 |
2.465667 |
5017.891812 |
5019.101985 |
0.021958 |
2.420347 |
SC10 |
5017.889296 |
5019.123026 |
0.022171 |
2.467460 |
5017.891752 |
5019.103559 |
0.021973 |
2.423614 |
SC11 |
5017.889614 |
5019.177568 |
0.022653 |
2.575909 |
5017.891939 |
5019.159195 |
0.022470 |
2.534513 |
SC12 |
5017.890375 |
5019.066938 |
0.021651 |
2.353127 |
5017.894351 |
5019.035227 |
0.021321 |
2.281754 |
변형된 새들 아치의 형태로부터 타원의 이심률 (eccen- tricity)과 진원도 (OOR, out of roundness)를 계산하였다. 각 시나리오별로 이심률과 진원도는 미소한 차이만 있을 뿐이며, 이 값들로부터 새들의 변형된 형상도 정(正)원에 가까움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연료탱크는 새들과 동심을 이루기 보다는
Fig. 29와 같이 새들 상판의 중앙부에서 접원에 가까운 형태로 설치된다. 따라서 연료탱크 설치 관점에서는 새들 상판의 진원도 보다 새들 양 끝단 ③, ④ 지점의 위치가 중요하다.
Fig. 29
Schema of the fuel tank installation after welding of the saddle
③, ④ 지점이 새들 내부로 변형 시, 연료탱크 설치 중 간섭 및 충돌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통상 새들과 연료탱크의 우든 블록 사이는 20mm 정도의 공차를 적용하며, 이 공간에 레진이 도포된다. 따라서 레진이 적당한 두께로 도포되어 로드 베어링 역할을 충분히 하고, 연료탱크 설치 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새들이 내부로 많이 변형되는 것을 피해야한다.
반면 ③, ④ 지점이 새들 외부로 변형 시, 연료탱크가 설치 중 한쪽으로 기울 수 있으며, 사용되는 레진 양의 증가로 자재 비용이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새들이 내부 또는 외부로 변형이 발생하는 두 경우 모두에서 새들 양 끝단 상판 위에 설치되는 연료탱크 부유 방지 설비 (AFD, anti-floating device) 설치 작업이 용이하지 못할 수 있다. 특히
Fig. 30과 같은 AFD와 연료탱크 단열재 간의 간섭 문제는 연료탱크, 새들, AFD를 제작 공차에 따라 제작하였음에도 빈번히 발생하는 품질 문제이다. 따라서 초기 설계 대비 최소의 변형이 발생하는 설치 공법이 요구된다.
Fig. 30
AFD installed normally (left) and interference between AFD and insulation (right)
Table 10은
Table 7의 결과를 평균으로 재정리한 결과이다. 시나리오별로 용접 진행 방향 및 변형의 정도를 표기하고 작업성을 정성적으로 분류하였다.
Table 10
Total relative displacement of the designated points of each scenarios
Scenario |
Average of tota relative displacement ③, ④ [mm] |
Brackets’ welding direction (X) |
Web frame’s welding direction (Y) |
δ/δmin |
Workability |
Remark |
SC12 |
0.108628 |
Inward |
Outward |
1.000 |
Bad |
Small displacement ↑ │ │ │ │ ↓ Large displacement |
SC6 |
0.110803 |
Outward |
Outward |
1.020 |
Normal |
SC9 |
0.111919 |
Inward |
Outward |
1.030 |
Good |
SC10 |
0.112062 |
Outward |
Inward |
1.032 |
Good |
SC5 |
0.113193 |
Inward |
Inward |
1.042 |
Normal |
SC1 |
0.113337 |
Inward |
Inward |
1.043 |
Good |
SC4 |
0.114233 |
Outward |
Outward |
1.052 |
Normal |
SC7 |
0.114675 |
Outward |
Inward |
1.056 |
Normal |
SC2 |
0.114730 |
Outward |
Outward |
1.056 |
Good |
SC8 |
0.116129 |
Inward |
Outward |
1.069 |
Normal |
SC3 |
0.116592 |
Inward |
Inward |
1.073 |
Normal |
SC11 |
0.118979 |
Outward |
Inward |
1.095 |
Bad |
Scenario |
Average of Y-displacement ③, ④ [mm] |
Brackets’ welding direction (X) |
Web frame’s welding direction (Y) |
δ/δmin |
Workability |
Remark |
SC12 |
-0.086354 |
Inward |
Outward |
1.000 |
Bad |
Small displacement ↑ │ │ │ │ ↓ Large displacement |
SC4 |
-0.089988 |
Outward |
Outward |
1.042 |
Normal |
SC7 |
-0.090436 |
Outward |
Inward |
1.047 |
Normal |
SC6 |
-0.090622 |
Outward |
Outward |
1.049 |
Normal |
SC1 |
-0.090950 |
Inward |
Inward |
1.053 |
Good |
SC9 |
-0.091785 |
Inward |
Outward |
1.063 |
Good |
SC10 |
-0.091852 |
Outward |
Inward |
1.064 |
Good |
SC8 |
-0.092077 |
Inward |
Outward |
1.066 |
Normal |
SC3 |
-0.092554 |
Inward |
Inward |
1.072 |
Normal |
SC2 |
-0.092614 |
Outward |
Outward |
1.073 |
Good |
SC5 |
-0.093032 |
Inward |
Inward |
1.077 |
Normal |
SC11 |
-0.096941 |
Outward |
Inward |
1.123 |
Bad |
몇차례 언급되었듯이 연료탱크 설치의 관점에서는 ③, ④ 지점의 위치가 중요하므로 해당 지점들의 변위를 기준으로 결과를 정리하였다.
용접작업으로 인해 발생하는 변형량은 총 변위와 Y 방향 변위 결과 모두에서 시나리오 12가 가장 작게 나왔고, 시나리오 11이 가장 크게 나왔다. 하지만 해석 결과 기준으로 가장 좋은 시나리오 12는 정반대의 위치를 번갈아 오가며 작업을 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이는 작업자가 상갑판 몇 미터 위에 위치한 높고 좁은 선체 시트 상판을 용접 장비를 들고 비계나 사다리를 이용해 수차례 왔다 갔다 해야하는 작업이다. 이러한 작업은 작업자의 피로도가 올라가 용접 품질이 낮아질 수 있으며, 또한 시간이 많이 드는데, 이는 모두 비용의 증가로 연결된다. 따라서 해당 시나리오의 작업성은 나쁘다고 할 수 있다. 시나리오 11은 시나리오 12와 마찬가지로 정반대의 위치를 번갈아 오가며 작업을 해야하고 또한 변형량도 가장 크게 발생한다.
작업성이 좋다고 평가된 시나리오 1, 2, 9, 10은 새들의 웹 프레임과 브라켓을 번갈아 가며 같은 방향으로 진행되거나, 한 방향으로 진행했다가 지났던 경로를 다시 돌아오는 용접 방식이다. 작업성이 보통이라고 평가된 시나리오 3 ~ 8은 웹 프레임이나 브라켓을 한번에 용접하고 남은 용접을 하는 방식으로, 작업성이 좋다고 평가된 시나리오 보다는 다소 작업자의 이동이 필요하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하고 주요하게 관리되어야 되는 항목에 따라 용접 시나리오를 선정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선박의 DP (dynamic positioning)에 필요한 아지무스 스러스터 (Azimuth thruster)는 360도 회전하고 완벽한 수밀성이 확보되어야 하므로 진원도와 평탄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선체에 용접 되어야한다. 이 경우, 제품의 형상이 다르므로 같은 시나리오가 나올 수는 없지만, 시나리오가 같다고 가정한다면 반드시 시나리오 12를 선정하여야 할 것이다.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연료탱크 설치 시 새들과 연료탱크의 우든 블록 간에 약 20mm 정도의 공차를 적용하므로 해석을 통해 계산된 용접 변형량은 연료탱크 설치의 관점에서 봤을 때는 큰 영향을 주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해석결과는 이론식과 정확한 조건하에 진행이 되었고, 실제 상황은 어떤 예상치 못한 상황이 발생할지 알 수 없기 때문에 본 연구의 결과를 참고함으로써 적어도 최악의 상황을 피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연료탱크 새들 구조에 국한되지 않고 유사한 여러 구조물의 시공방법을 정함에 있어 본 연구결과가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