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 론
2. 사용 재료 및 실험방법
2.1 사용 재료
2.2 실험 방법
2.2.1 레이저 용접 실험
Table 2
Laser condition | Laser power (W) | Scan speed (m/min) | Heat input (Joule/cm) | Ar Shielding gas (L/min) | |
---|---|---|---|---|---|
As welded | Core | 2,000 | 2.2 | 545.5 | 15 |
Ring | 150 | 1.5 | 60.0 |
2.2.2 열처리 방법
2.2.3 분석 방법
2.2.4 비커스 경도 측정
3. 실험 고찰
3.1 레이저 용접 실험
3.2 미세조직 관찰
3.3 경도 측정 실험
4. 결 론
1) 미세조직 분석 결과, BA 조건에서는 전 영역에서 Widmanstätten α + β 상이 나타나고 일부 입계 α 상 및 판상 α 상이 나타났다. As welded 조건의 경우 용융부에서 α’-martensite 조직과 일부 α상이 나타났고, 열영향부의 경우 α’-martensite, α 및 β 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MA 조건의 경우 용융부와 열영향부에서 모두 Widmanstätten α + β 상을 확인할 수 있었고 As welded, MA 조건의 모재는 equiaxed α + β 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미소 경도 측정 결과, 모든 조건에서 용융부의 경도가 가장 높았고 열영향부를 거쳐 모재로 갈수록 경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MA 조건과 BA 조건에서 용융부의 경도가 As welded 조건보다 낮았으며, BA 조건의 경우 모재의 Widmanstätten α + β 상이 As welded, MA 조건의 모재의 상인 equiaxed α + β 상에 비해 높은 경도값을 나타냈다.
3) 잔류 및 제거된 덴드라이트 영역의 평균 경도 값을 통해 As welded 조건에서는 덴드라이트 조직이 평균 698.4 Hv의 높은 경도 값을 나타냈으며, MA 조건에서는 평균 664.8 Hv로 약 5% 감소하였다. BA 조건에서는 덴드라이트 조직이 완전히 제거되어 평균 601.1 Hv로 As welded 조건에 비해 약 14%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4) BA 조건은 용융부, 열영향부 및 모재의 미세조직과 기계적 특성 측면에서 가장 균일하고 안정적인 결과를 나타냈으며, 덴드라이트 조직의 완전한 제거와 적정한 경도 값을 통해 MA 조건에 비해 기계적 물성과 시간적 효율성에서 모두 우수한 열처리인 방식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덴드라이트 조직 제거에 가장 적합한 열처리 방식은 BA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