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 론
2. 실험방법
2.1 재료 및 용접방법
Table 1
Chemical compositions (wt. %) | |||||||
---|---|---|---|---|---|---|---|
C | Si | Mn | P | S | |||
0.05 | 0.51 | 1.26 | < 0.01 | < 0.01 | |||
Mechanical properties | |||||||
Y. S., MPa | T. S., MPa | El., % | Impact, J-20°C | ||||
545 | 572 | 28 | 70 |
2.2 다구찌법에 따른 직교배열 실험계획
Table 2
Table 3
2.3 용접부 치수측정 및 품질특성치
2.4 GRA를 가미한 다구찌법의 정의
3. 결 과
3.1 용접부 치수 및 품질특성치 계산
Table 5
3.2 제어인자 수준별 SNR 분석 결과
Table 6
Table 7
Table 8
Table 9
3.3 최적 공정변수 조합의 검증 실험
Table 10
4. 결 론
(1) 레이저 스캐닝과 역설계를 통해 가시화된 삼차원 표면 모델의 단면 형상이 실제 용접부 단면의 매크로 형상과 양호하게 일치함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용접부 단면의 상세 치수를 결정할 수 있었다.
(2) GRA를 가미한 다구찌법을 통해 수평 필렛 용접부에 대한 TW-FCAW의 최적 용접 공정 변수를 결정하였다. 품질특성치에 대한 기여율이 높은 두 가지의 용접 변수는 용접속도와 전류였으며 실험범위 내에서 용접속도와 전류의 최적값은 각각 80cpm, 400A였다. 그 외의 용접 변수 최적값은 후진각도 5°, 용접전압 32V, 옵셋 0mm, 토치각도 41°, 위빙진폭 1.4mm, 위빙각도 5°였다.
(3) 단전극 용접 공정에 비해 상대적으로 빠른 용접속도를 적용한 TW-FCAW로 설계 치수에 상응하는 필렛 용접부를 얻을 수 있었다.
(4)제어인자별 최적 수준 조합의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한 재현 실험을 통해 SNR의 예측값 대비 재현 실험에서의 SNR값의 비율이 95.5%로 매우 양호한 품질 재현성을 확인하였다. 최적 용접 변수 조합을 적용하여 거의 등변인 선형 필렛 용접부를 얻을 수 있었으며, 목두께의 평균값도 4.29mm로 목표값인 4.26mm에 거의 근접한 결과를 얻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