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 론
2. 수치해석 방법론
2.1 스캐터링 모델
2.2 흡수 모델
3. 해석결과 및 고찰
Table 1
Case | Scattering / absorption region | |||
---|---|---|---|---|
Keyhole region | Region 1 | h | Region 2 | |
B1 / C1 | X | X | - | X |
B2 / C2 | O | X | - | X |
B3 / C3 | O | O | 2 mm | X |
B4 / C4 | O | O | 4 mm | X |
B5 / C5 | O | X | - | O |
4. 결 론
1) 스캐터링 확률은 sub-ray의 진행 거리에 따라 변화하며 이로 인해 진행 거리가 다른 경우 모재에 도달하는 sub-ray의 분포가 변동될 수 있다.
2) 스캐터링 발생 범위가 증가할수록 키홀 내부에 흡수되는 레이저 파워가 감소하므로 레이저 키홀 용접 해석에 있어서 스캐터링 발생 범위인 플룸의 영역을 적절히 정의해야 한다.
3) 레이저 흡수에 대한 효과는 스캐터링 효과처럼 발생 범위가 증가할수록 키홀 내부에 흡수되는 레이저 파워가 감소하도록 하는 경향을 보였다. 하지만 그에 대한 효과는 스캐터링 효과보다 크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레이저 흡수에 대한 효과를 고려하는데 플룸 영역을 정확히 정의하는 것이 스캐터링 효과를 고려하는 데에서보다 더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