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 론
2. 실험 재료 및 방법
2.1 실험 재료
Table 1
Element | Co | Cr | Mo | Ni | Fe | C | Mn | Si | N |
---|---|---|---|---|---|---|---|---|---|
Component | Bal. | 28.5 | 6.0 | <0.5 | <0.75 | <0.35 | <1.0 | <1.0 | <0.25 |
2.2 실험 방법
Table 3
SM45C mechanical properties | |
---|---|
Yield strength | 35 kgf/mm2 |
Tensile strength | 45 kgf/mm2 |
Elongation | 20 % |
Hardness | 167 ~ 229 HB |
Table 4
DED process parameter | |
---|---|
Beam size | 1 mm |
Powder feeding rate | 3, 6 g/min |
Laser header moving speed | 500, 1000, 1500 mm/min |
Laser out power | 500, 700, 900 W |
3. 실험 결과 및 고찰
3.1 적층 높이 비교에 따른 적층 성능 평가
3.2 희석률 비교에 따른 적층성능 평가
3.3 에너지 밀도 비교에 따른 적층성능 평가
Fig. 10

3.4 미세조직 분석을 통한 적층성능 평가
Table 5
4. 결 론
1) 적층 높이에 따른 적층 성능평가 결과로 분말 공급량이 많을수록, 헤드 이동 속도가 늦을수록 높이가 증가하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2) 희석률에 따른 적층 성능평가 결과로 적층 높이와 용융풀 범위가 5 : 5 비율을 나타내는 조건을 확인하였다.
3) 본 실험에서 도출한 최적의 공정은 분말 공급량 6 g/min, 헤드 이동 속도 500 mm/min, 레이저 출력 500 W이며, 희석률은 52 %이다.
4) 에너지 밀도에 따른 적층 성능평가 결과로 108 J/mm2 이상의 값에서는 적층 높이에 비해 용융풀의 범위가 너무 크게 형성되어 적층 효율이 떨어지고, 54 J/mm2 이하의 값에서는 적층 높이가 너무 낮아 적층 효율이 떨어진다.
5) 에너지 밀도 60~84 J/mm2 사이의 조건이 적층 효율이 가장 좋을 것으로 생각하고 있으며, 본 실험에서 설정한 분말 공급량 조건보다 더 많은 분말을 공급할 시 희석률이 낮아질 수 있으며 적층 효율이 우수할 것으로 판단되지만 불필요한 소재 소모를 고려하였을 때 분말 공급량에 따른 추가적인 실험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