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 론
2. 실험 방법 및 절차
2.1 용접 소재 및 와이어
2.2 용접 실험 방법
Table 3
No. | Upper plate | Lower plate |
---|---|---|
1 | Al5083-O, 1.5 mm | Al5083-O, 1.5 mm |
2 | Al5083-O, 1.5 mm | Al5083-O 2.0 mm |
3 | Al5083-O, 1.5 mm | Al6061-T5, 1.3 mm |
4 | Al5083-O, 1.5 mm | Al6061-T5, 1.5 mm |
2.3 용접부 인장전단 강도 예측 방법
2.3.1 입력층 데이터 확보를 위한 용접부 형상 정보 추출 방법
2.3.2 출력층 데이터 확보를 위한 용접부 인장 전단 시험
2.3.3 용접부 인장 전단 강도 예측 모델 개발 방법
3. 실험 결과 및 고찰
3.1 와이어 송급 속도 및 EN ratio의 변화에 따른 용접특성 평가
3.2 용접부 형상 정보를 이용한 용접부 인장 전단 강도 예측
3.2.1 용접부 단면 분석을 통한 용접부 인장 전단 강도 예측
Table 5
3.2.2 레이저 비전 센서를 활용한 용접부 인장 전단 강도 예측
4. 요 약
1) 4 가지의 용접 조합에서 다양한 용접부 형상을 획득하기 위하여 와이어 송급 속도 및 EN ratio를 변경하여 적정 용접 구간을 확보하였다. Lap-fillet joint의 용접부에서는 각장, 목두께의 크기가 증가할수록 용접부 인장 전단 강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용입 깊이와는 무관하였다. EN ratio가 증가할수록 모재로의 입열량이 적어져 넓은 용접 구간을 확보하였지만, EN ratio와 용접부 인장 전단 강도의 관계는 직접적으로 확인할 수 없었다.
2) 용접부 크기 및 형상 정보를 얻기 위해서 파괴 검사인 용접부 단면 분석을 진행하였고, 단면 형상 정보 중 용접부 길이 6 개, 각도 3 개, 면적 3 개 데이터를 통해 인공 신경망 모델을 활용하여 용접부 인장 전단 강도를 예측하였다. 예측결과 오차평균은 9.27 %이고 R2는 0.90이었다.
3) 레이저 비전 센서를 활용하여 용접부 비드 프로 파일 정보를 통해 용접부 크기를 측정하였다. 레이저 비전 센서를 통해 얻은 용접부 크기와 실제 단면 분석에서 얻은 용접부 크기를 비교해 본 결과 오차율은 10% 이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레이저비전 센서를 활용해 얻은 용접부 단면 형상 정보 중 용접부 길이 4 개, 각도 2 개, 면적 1 개의 데이터로 용접부 인장전단강도를 예측한 결과 오차평균은 6.44%이고 R2는 0.93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