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 론
2. 실험 방법
2.1 HSLA 강의 제조
2.2 CGHAZ 시편의 제조
2.3 미세조직 분석 및 기계적 특성 평가
3. 실험 결과
3.1 모재 미세조직 및 경도
3.2 CGHAZ 미세조직 및 경도
Fig. 3

Table 3
3.3 모재 및 CGHAZ 시편의 샤르피 충격 특성
Table 4
Steel | Charpy absorbed energy at test temperature (J) | |||
---|---|---|---|---|
0 °C | -20 °C | -40 °C | -60 °C | |
M1 | 272 ± 18 | 280 ± 15 | 270 ± 10 | 183 ± 60 |
M1N | 275 ± 20 | 283 ± 25 | 267 ± 30 | 240 ± 20 |
M2N | 310 ± 5 | 282 ± 8 | 282 ± 8 | 277 ± 13 |
4. 고 찰
4.1 CGHAZ 조직 변태에 미치는 Mo과 Nb의 영향
4.2 CGHAZ 미세조직과 샤르피 충격 특성의 상관관계
Fig. 5

Fig. 6

Fig. 7

Fig. 8

5. 결 론
1) 모재와 CGHAZ의 미세조직에 미치는 Mo의 영향을 비교하면, Mo 함량이 높은 강(M2N)은 Mo 함량이 낮은 강(M1N)에 비해 AF의 분율은 낮고 GB의 분율은 높았다. 그리고 Mo 함량이 높은 CGHAZ 시편 (M2N-H)은 Mo 함량이 낮은 CGHAZ 시편(M1N- H)에 비해 AF의 분율은 낮고 GB의 분율은 높았다. 이는 Mo의 증가가 베이나이트 변태 온도를 낮추고, 베이나이트계의 저온변태조직의 형성을 유도하며, 탄소의 확산 속도를 감소시켜서 페라이트의 형성을 억제하기 때문이다.
2) 모재와 CGHAZ의 미세조직에 미치는 Nb의 영향 을 비교하면, Nb 첨가된 강(M1N)은 Nb이 첨가되지 않은 강(M1)에 비해서 상분율은 비슷하지만, GB 패킷의 크기는 더 작았다. 그리고 Nb 첨가된 CGHAZ 시편(M1N-H)은 Nb이 첨가되지 않은 CGHAZ 시편 (M1-H)에 비해서 AF의 분율은 낮고 GB의 분율은 높았다. 그리고 GB와 BF 패킷의 크기와 구 오스테나이트 결정립 크기는 약간 감소하였다. 이는 Nb이 탄질 화물을 형성하여 결정립 성장을 억제하고, 베이나이트 계의 저온변태조직의 형성을 억제하기 때문이다.
3) CGHAZ 시편의 저온 샤르피 흡수 에너지에 미치는 미세조직의 영향을 살펴보면, AF의 분율이 가장 높고, 결정립의 크기도 가장 작은 CGHAZ 시편(M1N- H)은 가장 우수한 저온 샤르피 충격 흡수 에너지를 갖는다. 이는 높은 분율의 AF 영역에서 소성 변형이 많이 발생하며 연성 파괴가 주로 발생하고, 일부 AF 영역에서는 취성 파괴가 발생하더라도 약간의 소성 변형과 함께 지그재그 형태의 짧은 균열 전파 경로가 형성 되기 때문이다. 반면, 조대한 패킷의 GB와 BF의 분율이 높은 CGHAZ 시편에서는 낮은 저온 샤르피 충격 흡수 에너지를 나타내었다. 이는 GB와 BF 영역에서 소성 변형이 거의 없는 취성 파괴가 주로 발생하고, 긴 균열 전파 경로가 형성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