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 론
2. 실험 방법
3. 실험 결과
3.1 마크로 조직 및 경도
Fig. 2

3.2 미세조직
3.3 용접부 (WM) SEM 미세조직 및 성분 분석
3.4 열영향부 (HAZ) SEM 미세조직 및 성분 분석
Fig. 7

3.5 열영향부 (HAZ) 균열 결함 분석
4. 결 론
1) Ti-6Al-4V 레이저 클래딩에서 용접부 (WM) 미세조직은 확산에 의한 V-rich α상과 V-lean β상이 적층된 라멜라 조직으로 구성된다. 이에 비해 용접 열영향부 (HAZ) 미세조직은 빠른 냉각에 의한 무확산 변태로 성분 차이가 없는 마르텐사이트 래쓰의 요철 구조로 구성된다.
2) Ti-6Al-4V 레이저 클래딩에서 라멜라 간격은 1.5㎛ 폭의 WM 보다 0.5㎛ 폭의 HAZ 지역이 미세하게 관찰되었는데, 이것은 HAZ 냉각속도가 WM 보다 빨라서 HAZ 지역에 마르텐사이트 래쓰 형성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3) 레이저 클래딩 WM 및 HAZ 지역에 피트 또는 기공이 발생하였는데, 여기에서 관찰된 성분은 Ti-(0.5~ 2.6)V 성분으로 Al 성분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특징을 보인다. 이는 Ti-6Al-4V 합금 클래딩 용융 중에 용접부에 Al2O3 와 같은 알루미나 산화 개재물이 생성되고 이것이 시편 연마 중에 이탈하여 기공이 형성되었기 때문이다.
4) 레이저 클래딩 경도 측정에서 WM/HAZ/ BM 경도는 500/464/194HV 로 측정되는데, 여기에서 WM 경도값이 HAZ보다 큰 것은 BM 에 접촉한 HAZ의 합금 성분량이 WM의 Ti-6Al- 4V 보다 작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