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 론
2. 실험 재료 및 방법
Table 1
Element(wt%) \ Material | Si | Mg | Al | Ca | Zn | P | Mn | Ba | S | Cl | Fe |
---|---|---|---|---|---|---|---|---|---|---|---|
Shop primer | 12.9 | 7.6 | 0.6 | 0.7 | 13.6 | 3.5 | 0.3 | - | - | - | 60.4 |
Epoxy | 23.1 | 19.1 | 11.3 | 0.9 | - | - | - | 11.1 | 1.3 | 0.7 | 32.0 |
3. 실험 결과 및 고찰
3.1 도료의 증발 특성 비교
3.2 표면 조도의 변화
3.3 레이저 클리닝 전후의 성분 분석
4. 결 론
1) 도료의 증발 특성을 비교한 결과, 증발점이 상대적으로 낮은 에폭시 도장면의 제거량이 숍프라이머 도장면의 제거량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열적가공을 수반하는 레이저 클리닝 공정에서 재료의 증발점은 레이저 클리닝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2) 클리닝부 표면의 조도 측정 결과, 스캔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서 표면의 거칠기가 증가하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레이저 클리닝시 과도한 레이저 조사는 모재에 손상을 야기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스캔 횟수의 선정이 중요함을 확인하였다.
3) 레이저 클리닝부의 EDS 점 분석 결과, 레이저 클리닝을 통하여 숍프라이머 및 에폭시 도장면을 완전하게 제거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조선해양 분야에서 도장면 처리에 레이저 클리닝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