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 론
2. 사용시편과 실험내용 및 고찰
2.1 사용시편
Table 1
Table 2
Table 3
2.2 실험방법
2.3 실험 결과 고찰
2.3.1 그루브 단면적(AG)과 입열량
Table 4
Pipe type | QTPL (kJ/mm) | Pipe type | QTPL (kJ/mm) | ||
---|---|---|---|---|---|
STS 316L | 3″-10S | 1.964 | STS Duplex S31803 | 45Φ | 2.449 |
12″-10S | 2.547 | 54f | 4.843 | ||
12″-40S | 8.709 | 80Φ | 5.889 | ||
24″-10S | 4.120 | 130Φ | 10.804 |
2.3.2 용접부 수축량 비교
Table 6
Table 7
3. 결 론
1) 각 소재별 Pipe 용접 수축변형 데이터를 계측 및 분석을 통하여 주 지배인자인 그루브 단면적 AG과 총 입열량 QTPL을 도출하여 수축변형 예측식을 개발할 수 있는 근거자료를 마련하였다.
2) 오스테나이트계 (STS 316L) 및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 (STS Duplex)의 Pipe 용접 수축 변형 특성을 파악하여 이 재료들의 용접변형 평균 및 산포를 최소화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였다. 이 근거를 바탕으로 각 주 지배인자에 대한 기준 설정에 대한 근거를 마련하였으며, 향후 현업 작업 표준화 기준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한다.
3) 동일 그루브 단면적 AG에서 STS Duplex가 STS 316L에 비해 입열량이 크게 된 것은 STS Duplex가 열전도성이 크기 때문이며, 동일 그루브 단면적 AG에 대해 STS 316L의 횡수축량 S가 큰 이유는 STS Duplex 대비, 열전도계수가 작고 열팽창계수가 크며 항복강도가 낮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4) 향후, 본 연구의 결과를 활용하여 파이프의 경험적 수축식을 도출할 예정이다. 경험식을 위하여 많은 수축데이터가 필요할 것이고, 이 데이터의 경우 기존 실험데이터를 정밀한 3차원 열탄소성해석 등을 활용하여 검증 후 사용할 것이다. 이렇게 검증된 정밀 수치해석기법을 활용하여 다양한 재료적, 기하하적 파라메터를 조합하여 경험식에 반영될 수 있도록 진행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도출된 파이프의 경험적 수축식은 향후, 산업계에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판단된다.